전통 채소인 물외 늦은 장마가 계속 이어지는 가운데 잠깐 날씨가 개이자 며칠전에는 사라져 가는 전통 채소인 물외를 첫 수확 하였습니다. 옥수수와 콩, 물외등 세자매와 온갖 풀들이 함께 자라고 있는 생태밭에는 어느새 자란 물외들이 황금빛으로 익으며 나뒹글기 시작하고 여치와 귀뜨라미등 수많은 풀벌레들은 고.. 산백초 익는 마을 농사/자연 생태농법 2010.09.06
생태밭이 생명의 모습들... 대 자연은 장마와 함께 열정의 계절인 여름을 보내면서 산골의 만 생명들을 성장 시키고 있습니다. 농약과 비료 그리고 인공홀몬에 의지해 생산되는 관행 농법과는 달리 농부가 짓는 다랑이 생태밭에서는 수많은 생명들이 세자매가 자라는 풀숲에서 함께 살아가면서 은방울 굴리는 듯한 노래를 부르.. 산백초 익는 마을 농사/자연 생태농법 2010.08.11
풀과 함께 하는 산골의 생태농사 길고 지루했던 장마기동안 대자연이 뿌려준 생명수는 다랑이밭 벗님들을 어느새 성큼 성장을 시켜 주었습니다.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짓던 생태농법에 감동을 받았던 농부는 자연의 순리에 맞는 생태농사를 지어온지 어느덧 10년이란 세월이 흐르고 있으며 살아 숨쉬는 산골의 다랑이밭으로 초대를 .. 산백초 익는 마을 농사/자연 생태농법 2010.08.11
야콘과 돼지감자 파종 지난 사월 하순경에는 그동안 겨울을 넘기며 보관중이었던 야콘과 돼지감자 종자들을 꺼내어 이른 봄에 김매기등 미리 준비해둔 밭에 파종을 마쳤습니다. 땅속에서 잠자던 야콘 종자들을 꺼내어 자루위에 펼쳐 놓았습니다. 씨눈이 나오려 하고 있군요. 일부 썩은 것들을 제외 하더라도 올해 종자는 .. 산백초 익는 마을 농사/자연 생태농법 2010.05.06
사람과 자연을 생각하는 생태농사를 시작합니다. 작년에 농사를 마무리 하고서 농한기 안거에 들어갔던 농부는 이제 새봄을 맞아 생태농사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평년엔 늦어도 3월 초순이면 씨앗 준비와 파종지 김매기, 토종벌 관리등 벌써 일을 손에 달기 시작하고 있었을 텐데 올해는 이곳에서 생산한 생청의 효능들을 검증 하려고 안거중에 장기.. 산백초 익는 마을 농사/자연 생태농법 2010.03.23
생태 농부의 한 해 농사를 마무리 합니다. ( 문유산에서 바라본 일몰 ) 이른봄 아지랑이 너울 속에 씨앗을 뿌리며 금년 농사를 시작 한지가 엊그제 같은데 세월은 어느덧 한 해를 마감 하고 있습니다. 올해도 수해와 풍해등 해마다 난리를 겪어 왔던 자연 재해들이 없어서 이 땅에서 어려움을 겪으며 살아 가고 있는 대다수 농민과 서민들에게 .. 산백초 익는 마을 농사/자연 생태농법 2009.12.22
생태농사 가을 걷이 새 봄의 아지랑이 너울속에서 씨앗을 뿌린지가 엊그제 같은데 산골은 이제 추수의 계절도 지나고 겨울이 다가왔습니다. 그동안 아메리카 원주민들의 생태농법으로 재배한 옥수수와 참외 수박등은 여름을 넘어서면서 미리 수확을 마쳤으며 그 공간에 자라던 야콘과 뚱딴지, 국수호박을 지난달 말경에.. 산백초 익는 마을 농사/자연 생태농법 2009.12.08
생태밭 벗님들의 모습 지난 사월에 생태농법으로 파종했던 새자매들은 봄철 새순이 오르던 시기에 벌레들에게 많이 시달렸지만 장마를 거치면서 생육이 왕성하여 이제는 꽃과 열매를 맺기 시작하고 다른 생명들에게도 의지처가 되어주고 있습니다. 장마직전에 찍은 모습 장마가 걷힐 시기인 한달뒤의 모습 (반대 방향에서.. 산백초 익는 마을 농사/자연 생태농법 2009.07.31
아메리카 원주민들의 생태농법 우리민족의 사촌혈통쯤 되는 아메리카 원주민들의 자연과 일치하며 조화로운 삶을 살았던 흔적들을 접할때마다 그분들이 순수함과 지혜로움에 감동을 느끼게 됩니다. 원주민들은 호박과 콩 그리고 옥수수를 함께 파종하며 이들을 "세자매"라고 하였으며 농약과 비료로 농사짓는 농부들이 가장 귀찮.. 산백초 익는 마을 농사/자연 생태농법 2009.04.25
해동을 맞아 희망의 밭을 일구며... 지난 늦가을에 한해 동안의 농사를 마무리 하고나서 농한기를 이용하여 긴 겨울 여정에 들어갔던 농부는 이제 해동을 맞아 다시금 한해 농사를 시작하기 위하여 산골로 돌아왔습니다. 집앞을 지나는 실개천엔 아직도 살얼음이 남아있고 산골의 차가운 바람은 봄을 시샘하는 꽃샘 추위를 몇번은 실어.. 산백초 익는 마을 농사/자연 생태농법 2009.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