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식을 저버리는 의사들의 논리 상식을 저버리는 의사들의 논리 ◆ 독후감 후기 아래 내용을 읽어보면, 저자는 "의사들은 영양학에 대해 배우지 않으므로 환자에게 조언을 해주기 어렵다"고 주장하고 있다. 저자의 이런 주장은, 충격을 넘어 경악스러운 의료현실이다. 영양이란 무엇일까? 생명의 구성원소이며 에너지다.. 건강도서/나는 현대의학을 믿지 않는다 2017.03.06
약의 피해로부터 아이들을 지키려면 약의 피해로부터 아이들을 지키려면 ◆ 독후감 후기 아래 내용을 읽어보면, 저자는 "부모는 약의 피해로부터 단호하게 아이를 지킬 줄 알아야 한다"고 주문하고 있다. 하지만, 요즘 아이들을 둔 부모들은 이런 생각을 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엄마들은, 아이가 조금만 아파도 행여 큰일이 .. 건강도서/나는 현대의학을 믿지 않는다 2017.03.05
약과 사이 좋게 지내기 전에 약과 사이 좋게 지내기 전에 ◆ 독후감 후기 아래 내용을 읽어보면, 저자는 "약을 복용하기 전에, 효능와 부작용을 의사에게 질문하고 약의 내용을 알고 먹으라"고 충고하고 있다. 저자는, "약은 러시안 룰렛보다도 위험하다"고 경고하고 있다. 충격적인 사실은, "의사는 약을 처방하면서.. 건강도서/나는 현대의학을 믿지 않는다 2017.03.04
약의 작용과 부작용 약의 작용과 부작용 ◆ 독후감 후기 아래 내용을 읽어보면, 작가는 "여러 종류의 약을 함께 복용하면 그 위험성과 강도가 증폭된다"고 경고하고 있다. 독성 화학물질은, 몸에 독이 되는 물질이다. 그러니, 반드시 부작용을 동반하게 되어 있으며, 함께 복용할수록 위험은 더욱 커진다. 약.. 건강도서/나는 현대의학을 믿지 않는다 2017.03.03
부작용 없는 약이 있을까? 부작용 없는 약이 있을까? ◆ 독후감 후기 아래 내용을 읽어보면, 작가는 "약을 처방하는의사로부터 몸을 지키기 위해서는 맹신하지 말아야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의사가 처방하는 약은 위험하다"고 생각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주문하고 있다. 약이 위험한 이유는, 독성화학물질을 치료.. 건강도서/나는 현대의학을 믿지 않는다 2017.02.27
수행자는 가진 것도 없고 집착도 없다 수행자는 가진 것도 없고 집착도 없다 421 처음에도, 나중에도, 또 중간에도 그는 아무것도 가지지 않는다. 가진 것도 없고 집착도 없는 그를 나는 '수행자'라고 한다. 422 가장 힘 있고 가장 굳세어 세상을 항복받고 자기를 이겨서 욕심이 없는 사람, 깨달은 사람 나는 그를 '수행자'라고 한.. 건강도서/법구경 2017.02.25
의사가 약에 연연하는 이유 의사가 약에 연연하는 이유 ◆ 독후감 후기 아래 내용을 읽어보면, 작가는 "의사가 약에 연연하는 이유는 경제적인 이익을 추구하기 때문"이라고 하고 있다. 의사들은 환자의 건강을 고려하기보다, 자신의 이익을 먼저 생각하며 치료를 하고 있는 것이다. 아래 글에는 내용이 없지만, 의.. 건강도서/나는 현대의학을 믿지 않는다 2017.02.24
약에 찌드는 아이들 약에 찌드는 아이들 ◆ 독후감 후기 아래 글을 읽어보면, 작가는 애매하기 짝이 없는 진단에 근거하여 아이들을 약물 중독자로 만드는 것을 크게 우려하고 있다. 이것은, 치료라는 이름으로 아이들의 미래와 인생을 망치는 것이다. 이런 위험한 약들이 왜 의료현장에 유통되고 있으며, 의.. 건강도서/나는 현대의학을 믿지 않는다 2017.02.23
수행자는 모든 멍에를 벗어난 사람 수행자는 모든 멍에를 벗어난 사람 416 사람이 만일 이승에 있어서 모든 욕심을 끊어 버리고 집을 나와 이미 애정이 다한 사람 나는 그를 '수행자'라고 한다. 417 사람의 멍에를 이미 떠나서 신의 멍에에도 걸리지 않고 모든 멍에를 모조리 벗어난 그를 나는 '수행자'라고 한다. 418 즐거움도 .. 건강도서/법구경 2017.02.20
수행자는 어디에도 집착이 없다 수행자는 어디에도 집착이 없다 411 몸을 내 던져 어디 의지하지 않고 법을 밝게 알아 의심이 없어 감로의 근원에 이르는 사람 나는 그를 '수행자'라고 한다. 412 복이나 죄를 함께 여의어 그 어느 것에도 집착이 없어 슬픔도 욕심도 떠난 사람 나는 그를 '수행자'라고 한다. 413 뚜렷이 깨끗.. 건강도서/법구경 2017.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