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40대 갑상선 질환 주의보 30~40대 갑상선 질환 주의보 얼마전에 TV조선에서 갑상선암의 급증과 과잉진단에 대한 우려의 보도가 있었습니다. 갑상선암의 직접적인 원인은 방사능 오염음식의 섭취에 의한 내부피폭이 원인임을, 알만한 사람들은 다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아래 옮겨온 내용을 보면, 2008년에 60만이었.. 생태농부 건강 칼럼/올바른 건강 상식 2014.07.31
끊임없이 일어나는 병원 의료사고 끊임없이 일어나는 병원 의료사고 의료 편리성에 젖어 있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병원을 믿고 자신의 몸을 맡기게 됩니다. 자신의 건강관리에 대한 주체성을 잃으면, 병원은 환자들에게 복종과 맹신을 요구해도 전혀 위험을 느낄 줄 모릅니다. 병원은 과연 안전한 곳일까요? 시사저널에서 .. 생태농부 건강 칼럼/올바른 건강 상식 2014.07.28
슈퍼박테리아보다 센 폐렴구균 국내서 밝견 슈퍼박테리아보다 센 폐렴구균 국내서 밝견 슈퍼박테리아보다도 더 강한 폐렴구균이 국내에서도 발견되어 의학계를 긴장시키고 있습니다. 폐렴구균은 어떤 항생제도 듣지 않기에 미국 질병관리본부(CDC)도 주목하고 있는 세균입니다. 항생제 남용이 불러들이는 지옥의 사자들... 의학은 .. 생태농부 건강 칼럼/올바른 건강 상식 2014.07.10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의료비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의료비 의료비를 마련하기 위해 집을 팔거나 사채를 쓰는 '메디컬푸어'가 전국에 70만 가구나 된다고 합니다. 이러한 사실은 새누리당 김희국 의원이 2013년 보건복지부 국정감사 때 밝혀진 내용입니다. 병원비를 갚기위해 사채를 쓰는 가구도 13만 가구나 된다고 합.. 생태농부 건강 칼럼/올바른 건강 상식 2014.06.08
신발 밑창에 쓰이는 화학물질 빵에도 들어간다? 신발 밑창에 쓰이는 화학물질 빵에도 들어간다? 밀가루를 표백하고 반죽을 더 찰지게 만드는 첨가제로 사용하는 '아조디카본아미드'(ADA)는 공업용 첨가제로 요가용 매트, 신발 밑창 등 플라스틱 제품을 만들때 사용하는 화학물질인데 빵, 피자, 스낵 등에 사용하다가 미국 환경단체에 들.. 생태농부 건강 칼럼/올바른 건강 상식 2014.03.03
MSG가 안전하다는 식약처의 주장 MSG가 안전하다는 식약처의 주장 식약처가 MSG는 지금까지 과학적으로 유해성이 입증된 것이 하나도 없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매일 평생을 먹어도 안전에 전혀 문제가 없는 식품첨가물이며 더 나아가 다른 첨가물에도 근거없는 불신을 가질필요가 없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MSG의 주원료.. 생태농부 건강 칼럼/올바른 건강 상식 2014.02.27
생리통의 고통 뒤에는 환경호르몬이 있다. 생리통의 고통 뒤에는 환경호르몬이 있다. 2006년에 SBS스페셜에서 '환경호르몬 습격'에 대한 방송을 했는데 여성이면 반드시 알아두어야 진실이 들어 있습니다. 격심한 생리통의 뒤에는 화학농법으로 길러내는 육류, 홀몬제 의약품들, 생활용품 등이 가장 문제가 심각합니다. 그중에도 일.. 생태농부 건강 칼럼/올바른 건강 상식 2014.02.18
만혼·스트레스로 35-44세 남성 불임 급증 만혼·스트레스로 35-44세 남성 불임 급증 국민건강보험 자료를 보험 젊은 남성들이 불임이 매우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아래에 통계표를 보면 35-44세 남성 불임 진료현황이 나오는데 연평균 증가율이 무려 16%가 넘는다니 한동안 인구증가를 걱정하며 "아들딸 구별말고 둘만 .. 생태농부 건강 칼럼/올바른 건강 상식 2014.01.12
환경단체 '뻬뻬로데이' 과자 방사능 오염 가능성 환경단체 '뻬뻬로데이' 과자 방사능 오염 가능성 주장 11월 11일은 나라의 식량을 책임지는 농업인의 날입니다만 사람들은 그보다도 '뻬뻬로데이'가 더 익숙해져 있는듯 합니다. 농림축산식품부의 양정자료에 따르면 2012년도 우리나라 식량자급률이 45.1%인 것으로 발표되었으며 해마다 떨.. 생태농부 건강 칼럼/올바른 건강 상식 2013.11.11
병원에서 의료 양심이 없다면 어떻게 되는가? 병원에서 의료 양심이 없다면 어떻게 되는가? 생명을 구하는 병원에서 환자의 아픔을 진정으로 생각하는 인간의 향기가 없다면 진료는 환자를 위해서가 아닌 병원의 수익을 위해 진행 될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생각해 보신적이 있습니까? 불필요한 검사, 과잉 진료의 문제는 어제 오늘의 .. 생태농부 건강 칼럼/올바른 건강 상식 2013.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