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농부 건강 칼럼/암의 치유

나노 전달체로 항암제 부작용 극복이 가능한가?

생활건강 연구가 2014. 7. 7. 07:00

 

나노 전달체로 항암제 부작용 극복이 가능한가?

 

 

국내에서 나노 약물전달체로 항암제의 부작용을 극복할 실마리를 발견했다고 하고 있습니다.

 

그 원리를 보니 전달체가 항암제 내성을 무력화 시키고, 항암제를 세포내로 유입하기 쉽기때문이라고 합니다.

 

과학에 빠지면 어쩔수가 없는 것인지, 이것이 항암제 부작용을 극복하는 것이라 주장하고 있습니다.

 

나노 전달체는 항암제가 지닌 독성과 발암작용을 중화시키거나 막을 수는 없는 것입니다.

 

또한 암세포만 골라서 하는 것도 아니기에 또 다른 부작용은 일어날 수 밖에 없을 것입니다.

 

암세포와 함께 정상세포까지 죽이는 것은 항암제가 생명을 해치는 독극물임을 증명하는 것입니다.

 

 사람이 죽어가는데 암이 죽은 들 무슨 소용이 있을까요? 

 

항암치료는 과학으로 포장하여 인류를 기만하는 것이라 들통이 난지도 삼십년이 다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지금까지 사실상 치료 효율에 아무런 변화가 없다는 것이 이미 드러난 내용입니다.

 

(암환자들은 "항암제로 살해당하다" 를 반드시 읽어보고 정신들 차리세요)

 

 

自然치유가 생태농부

 

 

 

 

국내 연구진, 탈모 등 항암제 부작용 극복 실마리 발견

가톨릭대 생명공학과 나건교수팀..."항암효과 극대화 기대" 연합뉴스 | 입력 2014.07.06 20:12

 

 

가톨릭대 생명공학과 나건교수팀..."항암효과 극대화 기대"

(서울=연합뉴스) 김은경 기자 = 국내 연구진이 항암제의 내성을 줄이고, 탈모·빈혈 등 부작용을 극복할 중요한 실마리를 발견했다.

가톨릭대 BK21 플러스사업 연구팀(차세대기능성생물소재개발 인력양성팀)의 나건 생명공학과 교수(교신저자)와 박형, 박우람 박사과정 연구원(공동 제1저자) 등은 빛에 반응하는
나노입자를 이용한 새로운 나노약물전달체를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항암제를 담을 수 있는 나노입자 표면에 빛에 반응하는 화학물질인 광감작제를 결합한 이 전달체는 빛에 반응해 암세포막을 붕괴시키는 물질을 생성, 약물의 세포 내로의 유입을 도와줘 항암제의 세포 내로의 전달 효율을 크게 높인다.

광감작제가 만든 활성산소가 암세포막을 붕괴시키면 항암제 내성의 원인으로 꼽히는 펌프단백질이 항암제를 세포 밖으로 퍼내지 못하는데다가 항암제의 유입 자체도 훨씬 쉬워지는 원리다.

실제로 개발된 나노전달체를 이용해 생쥐에 항암제를 투여한 결과, 기존보다 훨씬 적은 용량만 투여해도 효과가 나타나 고용량의 항암제 투여시 발생할 수 있는 탈모·빈혈·구토·설사 같은 부작용을 극복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진은 임상시험 등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이번 연구 결과가 실용화될 때까지 5년 이상이 걸릴 수 있으나, 개발에 사용되는 물질들이 다 임상허가가 돼있어 이른 시일 안에 실용화될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나건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기존 항암제의 부작용은 줄이고 항암 효과는 극대화할 수 있어 의미가 크다"며 "빛이 비교적 쉽게 전달될 수 있는 부위에 생기는 피부암이나 후두암, 구강암, 위암, 자궁암 등에서 항암제 전달체로서의 응용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 연구는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BK21 플러스사업 등의 지원으로 수행됐고,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생체재료誌(Biomaterials) 6월 13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kamj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원문 : http://media.daum.net/digital/newsview?newsid=201407062012060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