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은 살충제 달걀에 이어 '간염 소시지' 파문, 한국은?
유럽은 "살충제 달걀"에 이어 "간염 소시지"가 사회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영국 보건 당국이 조사결과, "E형 간염자"가 급증하는 주원인이 돼지고기를 사용한 소시지 등 육가공제품인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그래도, 영국 등 유럽의 보건 행정은 칭찬할만 하네요? 이웃나라 일본에서도 "E형 간염자"가 급증하고 있음을, 일본 국립감염증 연구소가 최근에 발표를 했습니다.
한국은 현재 어떤 상황일까요? 간염은, 바이러스에 따라 A, B, C, D, E 형으로 불리지만 간염환자들이 급증하는 추세입니다. 간염만 아니라 암, 차매, 폐렴환자들도 급증하는 상황입니다.
이는, 앞으로 다가올 엄청난 질병대란을 경고하는 전조증상입니다. 그렇다고 '한국의 식약처'가 국민 건강을 위해 식품의 안전성을 제대로 관리하고 있을까요? "살충제 달걀" 파동에서도 보았을 것입니다. 여론에 밀려야 마지 못해 검사를 하고, 독이 검출되도 안전하다고 하는 게 그들의 생리입니다.
세계보건기구는 소시지 햄 등 가공육을 1급 발암물질로 지정한 상태입니다. 그 속에 암이나 기타 질병을 유발하는 발암물질이 숨어 있다는 말입니다. 저는, 소시지나 햄을 사람 먹을 음식이 아님을 알고 쳐다보지 않은지 오래 되었습니다. 이를 맛있다고 먹으며, 음식에 대한 개념이 없는 사람이 대부분입니다.
식약처가, 식품의 안전을 지켜줄 것이라는 믿음은 망상입니다. 의사가 병의 원인을 올바로 가르쳐주고 있다는 믿음은 망상입니다. 자신에게 닥치는 질병고의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 스스로 생각하며 살아가야 합니다. 아직도 질병이 원인을 스트레스, 신경성, 유전이라고 생각하고 있나요?
생활치유 전문가 명언(明彦)
유럽서 '살충제 달걀' 이어 이번엔 '간염 소시지' 파문
입력 2017.08.23. 11:08
오염된 돼지고기로 만든 가공품에 영국인 수천명 E형간염 감염
네덜란드·독일산 돈육으로 소시지 만든 영국 수퍼마켓이 주범
(서울=연합뉴스) 최병국 기자 = 유럽에서 '살충제 달걀'에 이어 이번엔 '간염 바이러스 소시지' 파문이 일고 있다.
유럽 전문 매체 유랙티브 등에 따르면, 영국보건국(PHE) 조사 결과 근년 들어 영국에서 E형 간혐 바이러스 감염자가 급증하는 주원인이 수입산 돼지고기와 이를 이용해 만든 소시지 등 육가공제품인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영국의 한 대형 슈퍼마켓 체인점이 주로 네덜란드와 독일에서 수입한 돼지고기로 만든 소시지와 슬라이스 햄이 주범으로 지목됐으며, 이로 인해 그동안 수천 명이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보건국은 E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자 중 영국 밖으로 여행한 일이 없는 60명을 무작위로 선정, 생활방식과 구매습관 등을 추적 조사해 이같이 결론지었다. 이들이 감염된 특정 유형의 바이러스는 영국 돼지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종류다.
해외여행을 하지 않은 사람 중 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영국인 수가 2010년엔 368명이었으나 2016년엔 1천243명으로 급증했다.
영국 보건국은 문제의 슈퍼마켓 이름을 '슈퍼마켓 엑스(X)로 익명처리해 발표했으나, 네덜란드 언론이 이는 영국의 대형 슈퍼마켓 체인점 '테스코'라고 보도했다.
테스코 측은 아직 이 보도 내용을 부인하지도 진위 여부를 확인해주지 않고 있다고 유랙티브는 전했다.
한편 네덜란드에서 판매되는 간(肝) 소시지와 파테(고기 등을 다지거나 갈고 양념해 빵 등에 발라먹게 만든 제품) 80%에선 E형 간염 바이러스가 검출됐다고 네덜란드의 보건 및 식품 전문 웹사이트 '푸드로그'는 밝혔다.
네덜란드 미생물학자들은 제대로 위생 처리가 안 된 돼지 피를 이용해 제품을 만든 것이 주원인으로 보고 있다.
유럽 각국은 '살충제 달걀' 사건에 이어 터진 '간염 바이러스 소시지'가 어디까지 확산할 것인지 우려하며 주시하고 있다. 특히 두 사건 모두 관련된 것으로 나타난 네덜란드 축산 농가와 당국엔 비상이 걸렸다.
금지 살충제 피프로닐 성분이 함유된 네덜란드산 달걀 사건은 당초엔 이달초 독일에서 시작됐으나 이후 이 달걀 수입국이 유럽에서만 17개국인 것으로 확인되며 파문이 확산했고, 유사한 사건이 한국에서도 벌어졌다.
◇ E형 간염 = 간염의 한 종류로 E형 간염 바이러스에 오염된 물·음식 등을 통해 감염된다. 특히 사람과 동물 모두 감염되고 옮기는 인수 공통 전염병이다.
대부분 경미한 증상을 앓거나 감염 사실을 모르고 넘어가기도 하지만 간 손상과 간부전, 신경손상을 일으키고 심하면 사망할 수 있다.
E형 간염은 아직 예방 백신이 없으며, 치료는 면역글로불린 등을 이용한다.
영국 보건당국은 적절하게 조리한 돼지고기로 인한 감염 위험은 매우 낮다면서 돼지고기와 그 가공제품은 반드시 충분히 익혀 먹으라고 당부했다.
님의 공감은
'세상을 건강하게 하는 힘'입니다
'생태농부 건강 칼럼 > 의학뉴스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살충제 계란이 무서워 '지엠오'두부로? (0) | 2017.08.29 |
---|---|
비타민은 영양제가 아닌 음식으로 먹어야 (0) | 2017.08.25 |
'한국 식약처'는 국민을 각성시키는 스승 (0) | 2017.08.23 |
'살충제 계란' 대부분 친환경 인증에 충격 (0) | 2017.08.18 |
살충제 계란에 이어 '담뱃재 소주'까지? (0) | 2017.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