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농부 건강 칼럼/의학뉴스 분석

살충제 계란 파문 "치킨'은 괜찮은가?

생활건강 연구가 2017. 8. 17. 09:54

 

 

 

살충제 계란 파문 "치킨'은 괜찮은가?

 

 

 '살충제 계란'으로 인한 먹거리 공포가 지구촌을 뜨겁게 하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계란과 함께 치킨에 대한 안전성도 의심하고 있습니다. 아이나 어른들이 좋아하는 치킨은 괜찮은 것일까요?

 

 유럽에 있는 이탈리아의 어느 피서지에서 실제 일어났던 일입니다. 거기에 피서를 가면, 대부분 남성들이 성불능이 되는 일이 벌어지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어떤 의사가 조사해보았더니, 피서지에서 즐겨 먹던 닭고기에 성장제가 그 원인이었음을 발견해서 문제가 된 적이 있었습니다.  

 

 오늘날 공장형 가축인, 닭이나 돼지 소에게는 성장제를 먹이는 게 일반화되어 있습니다. 몇개월에 걸쳐 성장하던 가축을 단시일 내에 만들기위해서죠. 요즘 치킨용 닭들은 보통 30~35일이면 성장합니다. 자연에서 성닭이 되려면, 보통5~6개월을 길러야 합니다.

 

 아이들이 조숙하고, 남성이 여성화 되고, 고개숙인 남자가 되는 이유가 이런 성장제 남용에 있다고 경고하는 학자들은 많이 있습니다. 살충제나 성장제는 축산물에 일반적으로 살포되고 있습니다. 이런 공해 먹거리가, 현대인들의 몸과 정신 건강을 해지는 원흉이 되고 있습니다.

 

 사람보다 돈을 먼저 생각하다보니, 먹거리에 독약을 넣는 세상입니다. 그 독약들을, 일일 섭취허용량이라는 이름으로 먹게 만들고 있습니다. 일일 섭취허용량을 정해 먹으면, 독약도 안전한 것처럼 전문가들은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런 말을 하는 인간을 보면, 속에서 열불이 납니다.

 

 독은, 몸에 쌓이고 몸을 죽이기에 "독"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작은 독이 쌓여 큰독을 만들고 있는데도, 몸은 아무렇지도 않을까요?

 

'자연과 함께 하는 생활치유'  생태농부 명언(明彦) 

 

 

"치킨은 괜찮나?" 소비자들, 살충제 계란 파문에 육계농가 조사도 요구

늙은 산란계 '노계', 닭볶음탕·육개장용으로 유통

     


    [파이낸셜데일리=김유미 기자] 국산 계란에서도 맹독성 살충제 '피프로닐' 성분 등이 검출되자 대형마트와 편의점 등에서 15일 정부 조사 결과가 나올 떄까지 전국 매장에서 계란 판매를 중지하는 등 식품 안전에 비상이 걸렸다.

     

    소비자들 사이에선 계란에서 살충제 성분이 나왔을 정도면 살충제 사료를 먹거나 살충제로 피부가 범벅이 된 닭은 괜찮겠느냐며 '살충제 계란' 공포를 넘어 계육에 대한 안전성에 대한 의심까지 번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산란계와 달리 식용으로 쓰이는 육계는 30일 정도로 속성으로 키우고 출하하기 때문에 산란계 농장처럼 기준치 이상이 잔류할 때까지 많이 뿌리지는 못한다고 설명한다. 또 안전한 닭고기를 공급하기 위한 도계검사에는 식중독을 일으키는 살모넬라균과 대장균 등 미생물 검사, 중금속, 항생제 검사 등을 하고 있기 때문에 안심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실제로 양계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해외에서 유입된 검정 딱정벌레가 육계의 생산성을 떨어뜨리고 계사를 갉아먹어 육계 사육농가의 피해가 지난해 크게 발생함에 따라 일부 육계농가에서는 계사 깊숙한 곳에서 서식하는 검정 딱정벌레를 퇴치하기 위해 살충제를 뿌려왔다. 한 농가에선 병아리가 살충제에 죽은 딱정벌레 사충을 많이 폐사한 적이 있기도 하다. 또 산란계의 경우도 알 낳는 기능을 다한 늙은 산란계 이른바 '노계'의 경우 육질이 질기기 때문에 닭볶음탕이나 육개장 등 식용으로 사용된다.

     

    한 양계농장 관계자는 "출하 이후 빈 계사에 적정한 수준의 농약을 뿌려야 하는데, 생산성 향상을 위해 무분별하게 살충제를 사용하고 있는 곳도 일부 있을 것"이라며 "이번 '살충제 계란' 사태를 계기로 산란계 농장뿐아니라 향후 육계 농장에도 살충제 사용과 관련된 당국의 지도·감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출처  ; http://www.fdaily.co.kr/news/article.html?no=53671

 

님의 공감은 

'세상을 건강하게 하는 힘'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