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백초 익는 마을 농사/자연 생태농법

생태밭의 생명들 - 2

생활건강 연구가 2012. 8. 26. 23:57

 

 

 자연의 생태계는 수많은 먹이사슬로 이어져 있으며 미물인 작은 곤충들이라도 생태계 공존을 위한 그 역할이 하나하나 분담되어 있습니다.

 

 그러므로 해충이라고 하여 농약으로 없애면 익충들도 연쇄적으로 피해를 입으면서 생태계는 균형이 깨어지고 오히려 질병은 더욱 많아지게 됩니다.

 

 생태밭에서 은은히 풍겨오는 오만가지 자연향기를 많으며 살아가는 생명체들은 모두가 인간과 자연을 이롭게 하는 우리 모두의 소중한 벗님들입니다.

 

 

                                                                 나방류 - 연록색 날개가 아름답다.

 

 

                                                                 달팽이 - 버섯으로 맛있게 식사하는 중이다.

 

 

                                                    장끼 - 올봄에 태어난 녀석이라 어른이 될려면 겨울이 와야 한다.

 

 

                                                                  거미 - 줄을 늘여 먹이잡는 공간 예술가이다.

 

 

                                                                      메뚜기 - 눈망울이 유달리 크게 보인다.

 

 

                                                                                                 집짓는 거미

 

 

                                                                                        무당벌레처럼 생겼는데 개미와 사연이 있는것 같다.

 

 

                                                                   잡벌 류 - 각시탈처럼 생겨가지고...

 

 

                                                                                하얀나비 - 꽃꿀로 식사중이라네요.

 

 

                                                                        잡벌 류 - 익모초꽃에서 꿀을 먹고 있다.

 

 

                                                                                            무당벌레와 모양이 비슷하지만 체구가 크다.

 

 

                                                     여치 - 청개구리처럼 환경에 따라 갈색으로 색을 바뀌기도 한다.

 

 

                                                                         줄을 치지 않고 몸으로 날렵하게 먹이를 사냥하는 거미이다.

 

 

                                                                     개미 : 우리 가깝게 지내자 ~     무당벌레 : 싫어 !!!

 

 

                                                                     사마귀 - 톱니가 달린 앞다리로 먹이를 사냥한다.

 

 

                                                                                                        거미종류인듯 하다.

 

 

                                         개구리 자신을 보호하는 위장술로 피부가 청색이나 갈색으로 변한다.

 

 

                                                                                                    어린 메뚜기

 

 

                                                                                메뚜기 종류인데 이름이 ???

 

 

 

 

 머리가 아프도록 농약 내음 풍기는 논밭에서는 위의 사진에 처럼 아름다운 생명들을 찾아보기란 여간 어렵습니다.

 

 몰살을 당하거나 아니면 농약을 피해 황급히 달아나겠지요.

 

 농약을 사용하면 토양에서 살아가는 미생물마저 대부분 사멸시키며 미생물들은 작물의 영양이 되는 토양효소를 분비하는데 그 대체로서 영양공급을 하여 주는 것이 화학비료입니다.

 

 비료는 작물의 조직을 부풀려 뻥튀기로 만들지만 미생물이 만든 토양효소를 먹고 자라는 작물은 생산량은 적더라도 비료를 먹은 것과는 비교 할 수 없는 영양과 진기가 들어 있어서 병고의 시대에 사람을 살리는 소중한 먹거리가 됩니다...

 

 

                                                                                    文遊山 생태농부

 

 

 

  

 

 

 

'산백초 익는 마을 농사 > 자연 생태농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첫눈이 내린 산골  (0) 2012.12.08
흑임자 수확  (0) 2012.09.09
생태밭의 생명들  (0) 2012.08.25
장마가 지난후 생태밭 벗님들   (0) 2012.08.06
장마를 맞는 산골 - 2  (0) 2012.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