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백초 익는 마을 농사/자연 생태농법

장마가 지난후 생태밭 벗님들

생활건강 연구가 2012. 8. 6. 21:05

 

 

 올해는 한달을 넘게 하는 장마가 20여일도 채 안되어 일찍 끝나 버리고 보름을 넘게 연일 불볕더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세월이 하 수상하니 자연도 이상현상으로 무언의 멧세지를 보내고 있는 것은 아닌지 농부는 염려하는 마음으로 하늘을 가끔 바라보기도 합니다만 그러나 산골의 생태밭에서는 벗님들이 하루가 다르게 성장하며 신비로운 생명의 파노라마를 연출하고 있습니다.

 

 

                                                                                                                              (호박 줄기)

 

  한알의 씨앗이 뿌려지고 그 작은 씨앗들이 자라 펼치는 생명의 몸짓은 살아숨쉬는 대자연을 느끼게 한다.

 

 

                                                                                                                                          (생태밭)

 

 여름 햇살이 눈부시게 쏟아지고 있는 생태밭에서는 수많은 생명들이 서로 공존 상생하며 조화를 이루고 있다.

 

 

                                                                                                                                              (맷돌호박)

 

 하지만 장마가 끝나자 산아래 농촌에는 병충해 방재를 하고 있는지 연일 농약 냄새가 들렼을 진동하고 있다.

 

 

                                                                                                                                        (실개다리베짱이)

 

 농약 살포는 해충, 익충, 토양미생물들을 가리지 않고 살상하며 결과적으로 생태계의 파멸을 불러오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단지 생산량만 높이려는 욕심때문에 자연과 사람을 병들게 하고 있는 것이다.

 

 

                                                                                                                 (줄무늬 국수호박)

 

 농약비료 없이도 수만년을 농사를 지으며 자연과 조화로움속에서 영혼의 풍요를 누렸던 우리 선조들은 자연을 잃어버리고 생명을 거스르는 작금의 농사를 바라보면 "농자는 천하의 근본이다"라고 오늘날의 농부님들도 평가해 줄 수 있을까하는 생각이 든다.

 

 

                                                                                                                                        (결명자)

 

 십여년전에 이곳 산골에 귀농하여 헌집 수리를 할때에 처마밑에 제비집이 여러채 보이길래 행여 파손이 될까봐 조심스레 작업을 하며 보존하여 두었지만 기다리던 제비는 오지를 않고 빈둥지에는 해마다 딱새가 자리를 잡고 알을 낳아 새끼를 치면서 농부와 벗해 주었다.

 

 

                                                                                                                                               (토종오이)

 

 그런데 이삼년전부터인가 그 많던 딱새들도 어디론가 사라져 보이지 않고 제비집은 이제 주인없는 빈 둥지가 되어 버렸다.

 

 

 

                                                                                                                                   (울금)

 

 딱새가 사라진 시점과  전국의 우리 토종벌들이 원인모를 질병으로 엄청난 손실을 가져왔던 시기와 맞물려 있어서 농부는 부화를 막는 새로운 유전자조작 농약 피해가 아닌가하고 의심하고 있다.

 

 

                                                                                              (토종오이꽃)

 

 농약내음 풍기는 들렼에서 자연에 대한 고마움과 영감을 어떻게 느낄 수 있으며 먹거리를 살리고 사람을 살리는 지혜를 어떻게 키워 나갈 수 있겠는가를 생각하여 본다.

 

 

                                                                                                                (토란과 돼지감자)

 

 농부님들이 편리성과 타성에 젖어 아무 생각없이 뿌려대는 농약의 피해는 결국 우리 농촌과 소비자들에게 고스란히 돌아가며 농약회사들의 이익만을 채워줄 뿐이다. 

 

 

                                                                                                                    (흑임자)

 

 여름날 농촌의 처마밑에서 새끼를 치며 농부님들과 함께 지내던 그 많던 제비들과 산골의 딱새들은 모두 어디로 갔을까?

 동의보감에서도 말하는 비장에 가장 좋은 참꿀을 생산해주던 귀여운 우리 토종벌들은 모두 어디로 사라졌나?...

 

 

                                                                                                                             (일당귀)

 

농부님들의 무지와 농정의 빈곤이 환경보전의 마지막 보루인 농촌까지 병들게 하고 있는것은 아닐까?

 

 

                                                                                                                          (야콘)

 

 먹거리 오염으로 인해 병들어 가는 도시 소비자들도 이제는 크고 빛깔 좋은 먹거리보다는 작고 못생겼지만 건강한 먹거리를 찾고 있음을 생각할 줄 알고 농약비료 없던 지난날 환경농법을 하루속히 되살려야 한다는 것이 절박하게 다가온다.

 

 

                                                                                                                      (구릿대)

 

 농약내음 풍기는 들렼은 생명들이 살수 없어 모두 떠나가고 공허함만이 남겠지만 생명의 살아 숨쉬는 들렼은 건강과 영혼의 풍요로움을 가져올 것이다. 

 

 

                                                                                                                         (질경이 밭)

 

 산들바람을 타는 고추잠자리, 녹음속에서 들려오는 매미의 노래, 먹이 찾는 하얀 왜가리들의 날개짓에도 자유스러움과 평화를 느낄수 있는 것은 그들과 생명으로 함께 만날 수 있기 때문이며 농부도 자연의 일부임을 알아갈때 자연스레 겸손과 생명존중의 마음은 차츰 회복되고 자라날 것이라 생각이 든다.

 

 

                                                                                                                                                            (대나무폭포)

 

 

 장마가 끝나자 연일 불볕더위가 이어지면서 한편으론 작물의 본격적인 성장기에 가뭄이 오는 것은 아닌가 하고 염려가 되고 있습니다.

 

 입추가 다가오지만 과거와는 절기가 보름가량 늦어지기 때문에 무더위는 당분간 지속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농부는 조금있으면 돌복숭아를 수확하여 산백초효소를 담아야 하고 가을 채소 파종도 준비하다보면 가을은 어느새 우리곁으로 성큼 다가올것 같습니다...

 

                                                                                                        文遊山 생태농부

 

 

 

 

 

'산백초 익는 마을 농사 > 자연 생태농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태밭의 생명들 - 2  (0) 2012.08.26
생태밭의 생명들  (0) 2012.08.25
장마를 맞는 산골 - 2  (0) 2012.07.11
미생물 유기농법 토마토  (0) 2012.07.05
장마를 맞는 산골   (0) 2012.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