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시험에 건강과 생명을 파는 사람들
아래 뉴스는, 임상시험 피해자들에 대해 연합뉴스가 보도한 내용입니다. 임상시험 알바에 참여했다가 최근 5년동안 82명이 죽고, 생명의 위협으로 1,168명이 입원했다고 합니다.
임상시험 피해자가 생겨도, 병원측은 보상주체가 제약회사라고 발뺌하고, 제약회사는 약과 부작용은 상관 관계가 없다는 식입니다. 시험주체가 병원인데, 피해를 당하면 제약회사가 보상해야 한다는 것이 말이 안 되는 이야기입니다. 더 말이 안 되는 것은, 제약회사가 약과 부작용은 상관 관계가 없다는 주장입니다. 한마디로 '약에 의한 부작용이 없다'는 오리발입니다.
돈 몇푼 쥐려고 임상시험에 참가 했다가 건강과 생명을 잃는다면 당한 사람은 얼마나 황당한 노릇일까요? 저는 서울 지하철역에 붙어있는 임상시험 모집 공고를 볼때마다 소름이 돗곤 합니다. 아직, 약으로서의 효능과 안전성이 검증이 안 된 약물 시험에 자기 생명을 맡겨보라고 유혹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약이라고 사회적으로 인정받으려면 정부가, 임상시험의 주체가 되어 제약회사를 관리감독 해야 합니다. 그게아니라, 제약회사에서 하청 준 병원에서 시행하고 있습니다. 사실상 약장수들에 의해 임상시험이 통제되고 있다는 말입니다. 정부는 서류만 검토하고 특허를 주고 있습니다.
임상시험이 통과된 신약이라고 안전하다고 생각한다면 큰 착각입니다. 미국은, 합법적으로 의사가 처방한 약에 의해 한해 10만 명이나 죽어가고 있으며, 약물로 죽어가는 사람은 심장질환, 암 다음으로 국민사망 3위입니다. 한국은, 약물피해 실태에 관한 자료조차 없지만, 의료선진국인 미국보다 형편이 좋을까요?
이런 현실을 생각하면 "이게 사람 사는 세상인가?" 하고 의심하게 됩니다. 왜냐하면, 병을 고치고 건강을 생각해서 먹는 약으로 인해 죽어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한마디로 약에 미친 세상이지요.
몸의 건강은, 자신의 행복과 성공을 담보하는 '최고 재산'입니다. 매일 안방으로 약선전을 보내는 '바보 상자'에 그만들 속으세요. 거기엔 약의 부작용을 알려주는 내용이 거의 없습니다. 약과 음식이 다른 게 아님을 생각할 줄 아십시요. 자기 몸을 살리는 진짜약이 무엇인지를 분명하게 알아야 자신의 건강을 지켜갈 수 있습니다.
생활치유 전문가 명언(明彦)
82명 죽고, 1천여명 입원..5년간 임상시험 피해자들
입력 2017.10.28. 09:01
출처 : http://v.media.daum.net/v/20171028090114874?rcmd=rn
<<시각장애인 음성정보 지원을 위한 텍스트입니다>>
"임상시험하다 인생 망해요"
'꿀알바' 임상시험의 숨겨진 진실
"힘이 안들어가고 얼굴 옆으로 계속 침이 흘러요"
난치성 질환을 앓고 있던 29세 여성 A씨는 지난해 세브란스 병원의 임상시험에 참여했습니다. 하지만 투약 다음 날, 갑자기 뇌졸중 증세를 보였죠.
"명확한 인과관계가 없으면 의료과실로 인정하고 보상하기 어렵습니다. 본인의 자발적인 동의와 참여로 이뤄졌기 때문에..."
말이 어눌해진 딸을 대신해 어머니가 병원에 보상을 요구했지만, 어렵다는 답변만 돌아왔습니다. 보상주체가 약을 만든 제약회사여서 병원에는 책임이 없다는 겁니다.
회사조차 약과 부작용은 상관관계가 없다고 말합니다. 보상을 받으려면 글로벌 기업과 소송을 진행해야 하는 상황이죠.
이처럼 임상시험 부작용으로 목숨을 잃거나 입원하는 사례는 끊이지 않고 있는데요. 5년간 사망자는 82명, 생명의 위험으로 입원한 사람은 1천 명이 넘습니다.
'국내 최대 60만명 회원이 함께하는 생동성/임상 지원자 모집'
위험성에도 불구하고 지하철, 버스 광고판 등 임상시험 모집 공고는 심심찮게 접할 수 있습니다. 임상시험 구인구직 인터넷 홈페이지에는 하루에도 수많은 지원자가 몰리는데요.
"4박 5일 참여해서 90만 원 받았어요. 하루에 10번 정도 피를 뽑았죠" - 대학생 정모(25) 씨
정모 씨도 지난 겨울방학에 당뇨병 치료제 임상시험에 참여했습니다. 몸을 담보로 하는 일이지만 등록금과 생활비 마련을 위해 급전이 필요했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위험하다는 생각은 해본 적 없어요. 다음 방학에도 할 생각이에요"
임상시험은 대학생 사이에서 짧은 기간 동안 많은 돈을 벌 수 있는 소위 '꿀알바'로 통합니다. 취업준비생, 실직자, 노인 등 사회적취약계층에서도 인기를 끌고 있죠.
우리나라 임상시험 건수는 2015년 기준으로 전 세계 7위 수준입니다. 특히 서울은 세계에서 임상시험 규모가 가장 큰 도시로, '임상시험 천국'으로 불릴 정도인데요.
시장이 확대될수록 그늘 또한 함께 커지고 있죠. 우려의 목소리도 들리는데요. 참여연대는 2015년에 '임상시험의 숨겨진 진실'이라는 제목의 토크쇼를 열기도 했습니다.
"임상시험 참가자에게 돈을 많이 주는 것은 그만큼 위험하기 때문이다. 저소득층 국민이나 대학생에게 임상시험을 권하는 것은 비인간적"
이들은 부작용과 윤리적 문제를 지적하며, 정부의 임상시험 확대 방안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죠.
출시될 약의 안정성을 위해 시행하는 임상시험은 중요합니다. 하지만 그에 앞서 승인요건을 엄격하게 재정비하고, 부작용 피해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요?
(서울=연합뉴스) 이상서 기자·김서연 김유정 인턴기자
shlamazel@yna.co.kr
'생태농부 건강 칼럼 > 의학뉴스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대병원 간호사가 환자용 속여 마약 투약 (0) | 2018.04.07 |
---|---|
내 몸을 죽이는 ‘장내 유해가스‘ (0) | 2018.04.06 |
'당뇨환자 1천만 시대' 무엇이 문제인가? (0) | 2017.10.16 |
아침을 거르거나 부실하면 혈전이 쌓인다? (0) | 2017.10.09 |
'치매국가책임제' 어떻게 생각하는가? (0) | 2017.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