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길을 찾아/세상을 보는 눈

화학은 인류에게 희망인가?

생활건강 연구가 2017. 5. 11. 09:45

 

 

 

 

 화학은 인류에게 희망인가?

 

 

 아래 뉴스를 보면, "화학이 우리가 먹는 식품을 더욱 안전하고 더욱 좋고 풍부하게 만든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당신도 이 말이 옳다고 생각하십니까?

 

 사람들은, 화학농법이 도입되면서 식량 증산에 크게 도움이 되었다고 믿고 있습니다. 하지만, 어떤 결과를 낳았나요?

 

 논밭은 오염되고, 벌 나비 나방 거미 등 수많은 곤충류와 새들은 멸종 위기에 놓여있습니다. 농민들은 빚더미와 농약중독으로 신음하고, 농촌은 황폐화되어 가고 있습니다.

 

 화학농법 먹거리에는 살충제, 호르몬제, 항생제로 범벅이 되어 있습니다. 뿐만아니라, 농약비료로 기르다보니 효소와 미네랄이 없는 껍데기 먹거리가 되어버렸습니다. 때문에, 현대 인류는 영양결핍과 함께 면역력이 크게 약회되어 있습니다.

 

 오늘날은 가공식품이 발달하면서, 수많은 화학 첨가물이 식품에 들어가고 있습니다. 인류는, 역사 이래로 영양 결핍과 함께 사람이 먹지 않는 것도 먹으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개도 안 먹는 것을 음식처럼 매일 먹고 있으니, 과거에 없던 각종 질환들이 우후죽순 생겨나고 있습니다. 

 

 화학의 폐해는 농업과 식품에만 있는 게 아닙니다. 의약품과 영양제마저도 인공적으로 합성시킨 화학물질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화학의약품, 회학영양제는 자연이 만든 생명물질이 아닙니다. 화학분자만 자연물질과 비슷하게 만든 인공물질입니다. 인공물질은, 음식처럼 소화 흡수되어 영양이 되는 게 아니라 몸에 축적이 되어 독이 됩니다.


 오늘날 현대의학은, '독약'을 투약하며 병을 고친다고 하고 있습니다. 제약회사들은, 인공물질을 '자연 영양제'처럼 팔아먹고 있습니다. 때문에 약과 영양제로 병을 얻거나 건강을 잃어가는 황당한 일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한국에서, 수천명의 인명 피해를 남긴 가습기 사건은, 화학 생활용품의 얼마나 무서운 것인지를 경고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치약, 샴푸, 화장품 등 생활용품들은 과연 얼마나 안전한 것일까요?

 

 당신은, 오늘날 '화학' 인류의 미래라고 생각하십니까? 아니면, 재앙으로 다가오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알아야 할 것은, 누가 화학으로 이익을 얻고 있느냐 하는 것입니다. 화학 농약비료, 화학 첨가물, 화학 의약품, 화학 영양제, 화학 생활용품을 만드는 그들은, 따로인 것처럼 보이나 사실은 모두 한 몸인 것입니다.


 그들의 정체가 누구인가 하면, 의사를 가르치며 현대의학을 뒤에서 조종하는 유대자본가인 약장수들입니다. 생각을 해보세요, 약장수들이, 한쪽에선 병주고 한쪽에선 약주고 있질 않습니까? "약주는 놈이 병주는 놈!"이라니 기가 막히지 않은가요? 이것이 오늘날, 자본의 힘으로 굴러가는 인간 세상의 모습입니다.


 그들이 화학을 찬양하는 이유는 오직 한가지입니다. 자신들에게, 어마어마한 이익을 안겨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돈이면 자연이 파괴되든 인류가 병들어 죽든 상관 않는 존재들입니다. 약장수들은 전쟁과 의학, 화학산 통해 거대 자본을 축적한 '죽음의 상인'들입니다. 그들의 손에 의해 현대의학이 굴러간다고 생각해보세요.


 태농부는, 화학은 인류의 희망이 될 수가 없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화학은 과학의 산물이라고 해도, 자연과 생명을 파괴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자신과 가족의 미래를 위해서는, 화학은 멀리해야 합니다. 대신에, 자연을 가까이 해야 합니다. 자연은 내 몸에 필요한 영양과 건강을 주는 원천이기 때문입니다. 인류의 희망은, 화학이 아니라 바로 자연에 있는 것입니다.

 

 

생활치유 연구가   생태농부

 

 

 

화학이 우리가 먹는 식품을 더욱 안전하고 더욱 좋고 풍부하게 만든다

 식량문제 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화학 기술. 세계미래보고서2055저자

박영숙 세계미래보고서2055 저자입력 : 2017.05.09 07:10

 



화학이 우리가 먹는 식품을 더욱 안전하고 더욱 좋고 풍부하게 만든다. 식량문제 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화학 기술


오늘날 세계에서 기아에 시달리는 사람들을 줄이기 위해 식품과학자들이 새로운 기술을 모색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은 미래지향적인 사고방식을 가지고 미래 세대의 식량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고자 노력하고 있다.


최근 화학분야에서 이러한 목표를 향한 진전을 가져올 수 있는 놀라운 발전이 있었다.


식품 매개 병원균에 대한 종이 기반 테스트 도구


식중독을 경험해 보지 않았더라도 식중독을 겪는 사람들의 고통을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사례는 집에서 치료가 가능하지만 일부 사례는 입원이 필요하고 심지어 이로 인해 사망할 수도 있다.


최근까지 사람을 병들게 할 수 있는 식품 박테리아를 검사하는 유일한 방법은 고도로 훈련된 사람이 운영하는 복잡한 검사 기계를 통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분석화학(Analytical Chemistry)’지에 발표된 연구에 의하면 전문가들은 식품 병원균이 존재하는 경우 특별한 종류의 종이에 라인을 표시하는 유형의 딥스틱 테스트를 개발했다.


딥스틱이 대장균 E.coli O157:H7, 살모넬라 티푸스 균과 접촉하게 되면 전문지식이 없이도 누구나 알아볼 수 있는 표시를 나타낸다. 결과를 알기 위해서는 해당 물질에 종이를 담그기만 하면 된다.


이러한 테스트와 관련된 박테리아 유형은 매우 ��하기 때문에 과학계의 사람들은 식품들이 식료품 가게에 전시되기 전에 이러한 테스트를 이용하여 식중독 사례를 줄일 수 있게 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http://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ejkGb=KOR&mallGb=KOR&barcode=9791186805497&orderClick=LAH&Kc=

오염된 음식에서 우리를 안전하게 지킨다.


앞서 언급한 종이 테스트는 과학자들이 화학 원리를 이용하여 식중독 사례를 줄이기 위해 노력한 유일한 방법이 아니다. 또 다른 기술로는 병원균에 노출되면 색이 변하는 지능형 포장도 있다.

식품 포장 용기에 소비자에 대한 설명이 포함되어 오염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연구진들은 식품의 고유한 ‘지문’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에서 많은 발전을 이루어냈다.

과학자들은 진짜 식품과 이와 유사한 가짜 식품을 판별하는데 DNA 식별자를 사용하고 있다.

유전자 마커는 정확하기 때문에 과학자들은 단일 카카오 콩의 진짜 여부를 정확하게 판독할 수 있다.


식품의 원산지를 이해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적절한 저장 방법도 매우 중요하다.

적절한 온도에서 식품을 보관하지 않으면 판매 시점에서는 오염되지 않았더라도 그 이후에 박테리아가 퍼질 수 있다.


냉장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온도와 관련된 방법들을 통해 식품을 보다 안전하게 만들 수 있다.

전통적인 급속냉각 방식의 개선을 통해 예전보다 15배나 더 빨리 냉동시킬 수 있다.


계란 생산을 증대시키는 효소 사용


식량 공급을 보호하는 것 이외에도 지구의 미래 거주민들에게 충분한 식량을 확보하는 방법을 마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렇지 못하면 인류는 멸종할 것이다.


인도에서, 듀퐁인더스트리얼바이오사이언스(DuPont Industrial Biosciences)는 닭 사육 과정에서 피테이트를 감소시키거나 제거하고 영양소를 증가시키는 효소 사용법을 도입했다.


피테이트는 산란계의 효율성을 저해하고 알의 영양적 가치를 낮춘다.

애널리스트들은 인도를 세계의 신흥 계란 시장으로 보고 있기 때문에 이 제품은 전 세계에 계란 접근성을 높여 주게 된다.


바이오 플라스틱과 작물생산량 증대


농작물 생산량을 극대화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농업, 식품공학, 무기화학 연구자들이 팀을 이루어 전 세계에서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은 생산량을 이룰 수 있는 친환경적인 패딩 소재를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물질은 석유에서 나온다. 작물의 생장을 돕고 잡초를 통제하며 수분 증말을 줄이며 작물이 직접 토양과 접촉하는 것을 막아준다.

그러나 오염 물질로 인해 이러한 소재는 재활용될 수 없다.

기후변화에 대한 유럽위원회는 과학자들의 연구 프로젝트와 초기 단계의 이니셔티브에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화학만으로는 세계의 식품 위기와 지구상의 수십억 주민들에게 식량을 공급하지는 못한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사례처럼 화학은 식량 문제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Image Credit: Shutterstock

 

출처 : http://www.indaily.co.kr/client/news/newsView.asp?nBcate=F1002&nMcate=M1004&nScate=1&nIdx=32286&cpage=1&nType=1


 



아래에 공감을 눌러 주시면

많은 분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